티스토리 뷰

체내 구성 물질의 합성

단백질은 열량 영양소라 에너지를 낼 수 있지만, 단백질의 주요 기능은 에너지원이 아니다.

 

체내의 다양한 대사 반응은 단백질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뇌의 조절 명령을 전달하는 호르몬이나 신경계는 표적기관에서 특정 단백질을 합성하여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단백질은 인슐린, 성장호르몬 같은 단백질성 호르몬과 카테콜아민처럼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래된 아민 호르몬을 합성한다.

 

아민 호르몬은 아미노산 화합물의 일종으로 신경계에 작용하는 강한 생리활성물질이 많다.

ex) 아드레날린, 도파민, 히스타민, 소로 토닌 등이 있다.

 

세포 내외에서 일어나는 수천만 가지 생체 내 대사 반응을 담당하는 효소도 단백질로 만들어진다.

 

그 외에도 면역글로불린, 산-염기 평형 유지, 세포 내외 수분 균형, 수송 및 운반체, 세포막 물질 이동 통로 및 구조 물질을 만드는 것도 단백질의 기능이다.

 

이처럼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은 단순히 에너지원을 넘어서서 생명 활동 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을 합성하는 데 있다.

 

에너지원

주된 기능은 아니지만 단백지롣 탄수화물이나 지방처럼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단백질도 열량 영양소이고, 에너지 물질인 포도당을 생성하는 C, H, O를 가지고 있기에 포도당이 부족할 때 당신생을 통해 적극적으로 에너지원으로 동원된다.

 

오죽하면 탄수화물의 기능 중 '단백질 절약 기능'이 있겠는가?

 

탄수화물을 에너지 요구량에 맞춰 먹으면 단백질이 에너지로 동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니 나오는 말이다.

 

우리 몸에 중요한 물질을 만드는 단백질이 필요하면 에너지원으로 동원된다는 것은 매우 아이러니일 수밖에 없다.

 

단백질은 분해 과정을 거쳐 구연산 회로를 비롯한 여러가지 경로를 통해서 ATP라는 에너지를 만드는 대사에 참여할 수 있다.

 

단백질의 기능 설명
구조 및 운동 근육, 결합조직 등 신체 조직 구성, 물질 운반
이동 체내 필수 영양성분, 대사 중간 화합물질 운반
호르몬/신경전달물질 다양한 호르몬/신경전달물질 제조
면역 항체, 면역계의 중요 성분 생성
산/엽기 균형 체액의 pH 유지
효소 인체의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기 위한 모든 효소 제작
체액 균형 체조직에서 이상적인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삼투압 유지
에너지 필요에 의해 포도당이나 지방으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