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흉식호흡과 구강흡은 비정상적인 호흡이다.

어떻게 숨쉬기를 하느냐가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연구에 의하면 사람들 중 약 1/3은 바른 호흡을 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 대표적인 잘못된 숨쉬기는 읍으로 하는 구강호흡과 흉식호흡이다. 어린이가 구강호흡을 하면 얼굴형이 변하거나 턱의 발달이 빈약해지고, 구강을 건조하게 하고, 잇몸과 목의 감염 위험이 높아지며, 운동 유발성 천식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구강호흡을 하면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기관과 기관지로 바로 들어오므로 기도에서 진한 점액을 많이 분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공기 중의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섬모의 운동, 즉 일종의 청소 작용이 방해를 받는다.

 

횡격막의 움직임에 집중하자

건강을 위한 호흡법은 복식호흡이다. 이것은 횡격막을 최대로 활용하는 호흡이므로 횡격막호흡이라고도 한다.

이에 반해서 가슴 부위의 근육을 주로 사용하는 흉식호흡은 호흡의 깊이가 얕고 호흡횟수가 빠르다.

올바른 횡격막호흡은 숨을 들이쉴 때 배 부위가 위쪽과 아래쪽, 왼쪽과 오른쪽, 앞과 뒤의 세 방향으로 팽창하면서 호흡이 배에서 시작되는 것처럼 보인다.

횡격막 호흡을 정상적으로 잘하고 있는지 알아보려면 안거나 누운 자세에서 한 손은 배꼽 바로 윗부분에 얹고, 다른 손은 가슴 위에 올린 상태에서 숨을 쉬어 보면 된다. 이때 가슴 부위는 거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 숨을 들이쉴 때는 배가 팽창하고, 반대로 내쉴 때는 배가 수축해야 한다.

 

횡격막 호흡의 이점

횡격막 호흡의 이점 중 하나는 횡격막 아래에 있는 내장기관들을 마사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이다. 횡격막이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할 때 그 아래에 있는 내장기관을 마치 스펀지처럼 압박하거나 이완시킨다. 이는 소화기관에 의한 소화 작용을 촉진하고 독소물질의 처리와 제거를 촉진한다.